■ 출연 :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
■ 출연 :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
■ 진행 : 윤재희 앵커
■ 출연 :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UP]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조사 결과서울 도심부 대기에 상당수의 미세플라스틱이 떠다니고,포장재나 각종 용기에 쓰이는 '폴리에틸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가운데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한 건 처음인데요.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전문가와 짚어보겠습니다.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홍수열 소장과 함께 합니다. 소장님 나와 계십니까? 공기중에 미세플라스틱이 있다는 사실에 놀라는 분 많을 것 같은데 원래 이게 있었던 건데 이번에 성분을 조사한 거죠?
[홍수열]
이번에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대기중 미세플라스틱의 현황들을 조사한 건데요. 1입방미터당 71개가 나와서 꽤 많은 양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기중에 떠다닌다면 그만큼 가볍다는 뜻일 것 같은데. 호흡하면서 마시게 되는 걸까요?
[홍수열]
당연히 대기중에 미세플라스틱이 떠다니고 있기 때문에 우리 호흡을 통해서 미세플라스틱이 들어올 수밖에 없고요. 폐 속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호흡을 통해서 들어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죠.
공기 중에 미세플라스틱은 어떻게 생기는지도 궁금한데 성분을 보니까 폴리에틸렌 성분이 가장 많다고 하더라고요. 이게 어떻게 공기중으로 가게 된 걸까요?
[홍수열]
일단 자동차 타이어 조각이라든지 아니면 의류를 통해서 섬유조각들이 떨어져 나오고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플라스틱의 경우에도 시간이 지나면서 햇볕에 노출되거나 하면서 계속 작은 조각으로 떨어져 나오게 되는 것이죠. 가볍기 때문에 자연환경에 배출된 미세플라스틱은 대기중으로 떠돌아다닐 수밖에 없는 것이죠.
타이어에서 마모돼서 공기중으로 가는 게 가장 많고, 일반 플라스틱 제품에서도 시간이 지나면 미세입자가 공기중으로 떠다닌다고요?
[홍수열]
그렇죠. 우리가 일상적으로 여러 종류의 플라스틱들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계속해서 떨어져 나올 수밖에 없는 거거든요.
이번에 조사한 걸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40814083705378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